728x90
반응형

·그림·조각·영화 등에서 성적 흥분을 일으킬 목적으로 성행위를 묘사하는 것

이 낱말은 그리스어의 '포르니'(매춘부)'그라페인'(쓰기)에서 유래한 것으로, 원래 매춘부의 생활을 묘사한 모든 예술 또는 문학 작품을 가리켰다. 포르노그래피는 보통 전달하거나 보존할 가치가 없다고 생각되었기 때문에, 그 기원이나 초기 형태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서구문화 속에 포르노그래피가 존재했음을 알려주는 최초의 뚜렷한 역사적 증거는 디오니소스 신을 경배하는 고대 그리스 축제에서 공연된 외설스러운 노래에서 찾아볼 수 있다. 로마 문화에 그림으로 된 포르노그래피가 존재했다는 명백한 증거는 폼페이에서 발견된다. 술의 신 바코스 축제에 바쳐진 폼페이의 벽은 1세기에 그려진 춘화 로 온통 뒤덮여 있다. 포르노그래피 문학의 고전은 로마의 시인 오비디우스가 쓴 사랑의 기술 Ars amatoria인데, 이 책은 여자를 유혹하여 밀통하는 방법 및 관능을 자극하는 기법을 다루었다

중세에 포르노그래피는 널리 퍼져 있었지만 평판이 나빠 주로 수수께끼와 저속한 농담 및 엉터리 시와 풍자시의 형태로 표현되었다. 중요한 예외는 보카치오의 데카메론 Decameron이다. 여기에 실린 100편의 이야기 가운데 일부는 음탕한 외설문학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중세의 포르노그래피가 다룬 주요주제는 수도승을 비롯한 성직자들의 성적 방탕을 묘사함으로써 그들의 위선을 폭로하는 것이었다. 인쇄술의 발명은 야심적인 포르노그래피 문학작품을 되살리는 결과를 낳았다. 이런 문학작품은 익살과 낭만의 요소를 포함하는 경우가 많았고, 성적 흥분을 자극할 뿐만 아니라 독자에게 즐거움을 주려는 의도도 갖고 있었다. 이러한 작품들은 거의 고전 문학에 의존해 부부 사이의 속임수와 부정행위가 자아내는 기쁨과 슬픔을 다루었다. 앙굴렘의 마르가리타가 쓴 엡타메롱 Heptameron은 여러 사람이 차례차례 음탕하거나 재미있는 이야기를 하는 장치를 이용했다는 점에서 데카메론과 비슷하다

문학적 가치가 없고 오로지 성적 흥분을 일으키기 위해 씌어진 근대적 포르노그래피 작품이 유럽에 처음 등장한 것은 18세기였다. 이런 작품이 소규모로 은밀하게 거래된 것은 영국에 독자적인 서적 출판판매업이 생겨나게 된 바탕이 되었다. 이 시기의 고전으로 가장 널리 읽힌 책은 존 클레런드가 쓴 패니 힐어느 매춘부의 회고록 Fanny Hillor, Memoirs of a Woman of Pleasure(1749)이다. 이무렵 프랑스 파리에서는 호색적인 그림이 대량으로 인쇄되기 시작해 급기야는 이런 춘화를 '프랑스 그림엽서'라고 부르게 되었다. 영국 빅토리아 시대에는 성적 주제를 다루는 것이 엄격하게 금지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금기로 되어 있었기 때문에 오히려 포르노그래피가 번성했다. 1834년에 런던에서 시행한 조사에 따르면, 홀리웰가()에만 포르노그래피를 파는 상점이 57개나 있었다고 한다. 빅토리아 시대의 중요한 포르노그래피 작품은 나의 비밀생활 My Secret Life(1890)이라는 익명의 방대한 자서전이다. 이 작품은 청교도 윤리가 지배하는 사회의 이면을 다룬 사회적 연대기이자 평생 동안 성적 만족을 추구한 한 영국 신사의 생애를 자세히 묘사한 것이다. 성적 만족을 얻기 위한 가학적 행위나 동성애를 다룬 특수한 문학작품도 이 시기에 등장했다

사진술의 발달과 그후에 이루어진 영화의 발달은 포르노그래피를 확산시키는 데 크게 이바지했다. 20세기의 포르노그래피는 표현수단이 유례 없이 다양하고 생산된 작품량도 엄청나다. 2차 세계대전 이후 포르노그래피 문학은 성행위를 노골적으로 묘사한 시각적 포르노그래피에 밀려 거의 설 자리를 잃었다. 이런 시각적 표현은 과거의 포르노그래피와 달리 긍정적인 예술적·사회적 가치가 부족한 것으로 여겨진다

포르노그래피는 미성년자와 성인을 타락시키기 쉽고 성범죄를 유발할 수 있다는 것 때문에 오랫동안 도덕적·법적 제재를 받았다. 때로는 중요한 예술작품이나 종교적 의미를 지닌 작품조차도 이와 같은 전제를 따른다면 포르노그래피로 여겨져, 국가를 비롯한 사법권의 금지조치를 당하기도 했다. 사람들은 법률적 근거나 과학적인 이유를 내세워 이같은 전제의 정당성에 이의를 제기하고 있다. 그런데도 많은 나라에서는 외설물 규제 법률에 따라 포르노그래피의 제작과 배포 및 소유를 범죄행위로 기소할 수 있다.

 

 

포르노그래피(영어: pornography, 그리스어: πορνογραφία), 줄여서 포르노는 성적 자극을 목적으로 인간의 신체나 성적 행동을 명확히 묘사한 것을 말한다. 현대에는 인터넷 포르노그래피라는 명목 하에 상당량의 포르노그래피가 비디오나 DVD 및 인터넷을 통해 배포되고 있다

[용어] 그리스어 포르노그래포스(pornographos),창녀에 관해 쓰여진 것이라는 의미를 가진 단어에서 유래된 단어이다. 이 낱말은 창녀를 뜻하는 '포르네(그리스어: πόρνη )', 쓰거나 기록하다라는 뜻의 '그라포(그리스어: γράφω)', 그리고 어떤 상태나 장소를 나타내는 어미 '-이아(그리스어: -ία)'가 붙어서 나온 현대의 그리스어 낱말 포르노그라피아(πορνογραφία)와 매우 비슷하다. 그러나 그리스에서 이 용어가 언제 처음부터 사용되었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

1800년대에 프랑스어에서 포르노그래피(pornographie)라는 용어가 사용되었다. 이 낱말은 1857년까지 접속사로서, 혹은 1842년에 프랑스어의 뉴올리언스로의 도입 전까지 영어에 소속되지 않았다

[산업] 한국에서의 포르노그래피는 오랫동안 음성적으로 존재해왔다. 독자적인 한국 문화를 가미한 야한 소설 - 일명 야설과 춘화 역사도 조선시대 부터 역사에 기록되어 있다. 조선시대에 이르러 유교와 선비 문화에 의해 오히려 고려시대보다 성문화가 더 음성화 되고 후퇴되었다는 학설도 존재한다.

오히려 개화 이후에는 미국 등 포르노그래피 산업국에서 수입해온 잡지 등에 의존도가 심해졌다. 한국에서 포르노그래피는 불법이다. 비디오 이외에도 사이트, 사이트 열람, 모두 금지되어있다.

 


728x90
반응형

'인간과 심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도착(性倒錯, paraphilia, sexual deviation)  (0) 2015.04.12
황색 신문  (1) 2014.10.23
해부학-근육과 관절(Movement) 편  (0) 2014.10.22
해부학-소화계(Digestion) 편  (0) 2014.10.22
해부학-순환계(Circulation) 편  (0) 2014.10.22
Posted by 하트트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