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미

고전 2014. 9. 18. 13:02
728x90
반응형

신맛의 겉은 금(金)이다. 신맛의 외형은 금 기운이 둘러싸고 있으므로, 신 음식을 먹을 때 우리는 금 기운을 느낀다. ‘초 산(酸)’의 부수에 들어 있는 ‘닭 유(酉)’는 또한 금을 상징하는 것이기도 하다. 금은 수렴하는 작용을 한다. 신 음식을 먹으면 “어우, 셔!"하며 얼굴의 눈, 코, 입이 한군데로 오그라드는데, 이건 금 기운이 작용한 예이다. 신맛은 금의 수렴하는 작용을 통해서 금극목(金克木)의 작용을 한다. 그 결과 신맛은 오장 중 목(木)의 장부인 간(肝)에 작용한다. 

쓴맛의 겉은 수(水)이다. 몸살이 나서 열이 펄펄 날 때 입안에 쓴맛이 감돈다. 몸에 화기(火氣)가 치성하면서 화기와 연동되어 있는 쓴맛이 함께 살아나기 때문이다. 쓴 음식을 먹었을 때 입안에 알싸함이 감도는데 이 느낌은 쓴맛의 수 기운이 특유의 응축하는 작용을 한 결과이다. 쓴맛은 수극화(水克火)하여 오장 중 화(火)의 장부인 심장에 작용한다.

단맛의 겉은 목(木)이다. 단맛은 입안을 감미롭게 한다. 단 것을 먹으면 사람들의 표정이 부드럽고 만족스러워지는 것은 목의 유한 성정이 발휘되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단맛은 어른보다 어린 아이들이 더 좋아한다. 어린이들에게서는 단맛을 느끼는 미각이 더 발달되어 있다고도 한다. 그런데 단맛의 목기는 목극토(木克土)하여 토에 가서 작용한다.

매운맛의 겉은 화(火)이다. 보통 매운 음식은 색이 붉다. 매운 음식을 먹으면 화끈한 열기 때문에 온몸에 땀이 뻘뻘 난다. 그래서 입을 벌리고 열기를 입 밖으로 내뿜는다. 이것은 매운맛의 화기가 몸에 작용하여 몸에 쌓인 기운을 발산하게 만든 예이다. 매운 맛은 화극금(火克金)하여 폐에 작용한다. 매운맛은 폐가 약한 사람에게 좋다. 감기에 걸렸을 때 쓰이는 약재는 맵고 더운 성질의 것들인데 이들은 쇠약해진 폐기를 북돋는 역할을 한다. 

짠맛의 겉은 토(土)이다. 짠맛은 토 기운의 조화하는 성정으로 맛들을 조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아무리 심란한 맛이 나는 음식이라도 소금간만 잘 맞추면 웬만큼 구제될 수 있다. 짠맛의 토기가 흐트러진 맛의 균형을 잡아 주기 때문이다. 짠맛의 또 다른 중요한 작용은 경직된 것을 부드럽게 이완시키는 것이다. 이를 연견(軟堅)작용이라 하는데, 이 역시 마찬가지로 토 기운이 작용한 것이다. 짠맛은 토극수(土克水)하여 신에 작용한다.

728x90
반응형

'고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가모음 3  (0) 2014.10.22
오미약성(五味藥性)  (0) 2014.09.20
음양 음식 분류표 가안  (0) 2014.09.18
음식의 음과 양  (0) 2014.09.18
홍성국, 60갑자와 시간 그리고 동양의학 2  (0) 2014.08.20
Posted by 하트트릭
,